[혼공네] 응용계층-HTTP, 쿠키와 세션
·
네트워크
일반적으로 상대 호스트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IP주소보다 도메인 주소를 많이 사용한다. naver의 도메인은 알지만 ip는 모르는 것처럼 말이다. 도메인과 ip는 네임서버에서 관리하는데, 도메인을 관리하는 네임 서버를 DNS(Domain Name System)라고 한다.  여기서 면접 빈출 질문이 나온다.www.naver.com을을 주소창에 치면 무슨일이 일어나나요?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주소창에 치면, DNS가 도메인 이름에 맞는 IP주소를 찾아낸다. 연결을 위해 tcp 연결 설정을 한다. 이 과정에서 3way-handshake 가 일어난다. 대부분의 사이트는 보안상 https를 이용하기에 ssl/tsl 인증서를 서버가 브라우저에 보낸다. 이 과정이 끝나면 렌더링을 위한 http요청을 서버에 보낸다...
[혼공네] 03-3 라우팅
·
네트워크
라우팅이란?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찾아 해당 경로로 패킷을 이동시키는 것이다.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 기능을 담당한다.  라우팅 테이블라우터가 관리하는 수신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1. 수신지 IP 정소와 서브넷 마스크 : 최종 패킷 전달 대상 의미2. 게이트웨이 (다음 홉) : 다음으로 거쳐야할 호스트의 IP 주소나 인터페이스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패킷을 내보낼 통로4. 매트릭 : 해당 경로로 보내기 위한 비용 (경로 중 매트릭이 낮은 경로를 선호) 매트릭은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라우팅 테이블의 내용을 수동으로 직접 할당하는 방식을 정적라우팅이라고 한다. 그러나 수많은 라우팅 테이블을 직접 쓸 수도 없고 실수가 발생할 수 있으니 자동으로 테이블 항목을 만든다. 이로써 경로상..